언제 2020.7.16
날씨 맑음
코스 한양도성 외부 순성길 2구간 낙산 (혜화문~흥인지문~광희문)
거리(성곽 3.9km/실제 5km) 및 소요시간 2시간
산행후기
서울 한양도성[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1396~1910, 514년) 도성 기능을 수행하였다. -서울 한양도성 에서-
한양도성 복원(18,627m) 순성길로 명명된 성곽을 사산(四山)과 4대문,4소문을 이어서 걸어 보기로 하고,
한양도성 순성길 2구간 낙산코스를 시작으로 백악(白岳) 구간 성북초교 앞 공원에서부터 출발해 봅니다.
낙산 코스는 보통 혜화문인 4호선 전철 한성대입구역에서 출발해서 낙산공원 방향으로 진행하여 흥인지문(동대문)을
거쳐 남대문과 동대문 사이에 위치한 광희문(시구문)까지 가는 코스입니다.
이 구간은 혜화문~흥인지문 구간에는 성곽이 유지되어 도심 속에 유적지를 걷는 운치가 있었으나,
흥인지문~광희문 구간은 도성이 멸실된 구간의 아쉬움이 남은 코스였습니다.
한양도성의 축성의 내력을 알게 된 각자성석으로 그 옛날 백성의 노고를 느끼게 합니다.
청계천의 축성된 이간수문과 오간수문의 의미도 비로소 알게 된 구간이었습니다.
여름철 걷기에는 다소 힘겨운 구간이었습니다.

성북초교 앞


성북초교앞 한양도성 내부 순성길



경신고












혜화문
숙정문(북문)과 흥인지문(동대문) 사이에 위치
현재 혜화동 로터리와 한성대입구역 사이에 위치



혜화문 건너 낙산공원 방향








삼선동 3.6.9 마을


한양도성의 각자성석:(축성과 관련된 기록이 새겨진 성돌을 각자성석이라고 한다)
여기 있는 각자성석은 충청도의 영동현(지금의 충북 영동군) 백성들이 공사를 담당한 구간의 시점을 표시
세종 때는 성벽을 쌓은 지방의 이름을 새겨 두었다가 성벽이 무너지면 서울로 올라와 다시 쌓게 했다.



장수마을










암문

순성길 내부


낙산공원




암문: 외부 순성길 동숭동 내부 순성길 이화동

한양도성 내부 순성길 이화동





내부 순성길 이화동

외부순성길 창신동













흥인지문 (동대문)





오간수교 (오간수문 자리)
오간수문(五間水門)은 흥인지문 옆 청계천에 건설되었던 수문으로 5개의 구멍이 있어 오간수문이라 불린다
-다음 위키백과에서-

오간수문




동대문역사문화관


이간수문
을지로 6가 18번지 청계천의 오간수문 바로 남쪽에 도성의 성곽을 통과하는 수문이다.
이 물길은 도성 밖에서 청계천 본류와 합류한다. 2개의 홍예문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오간수문의 형태를 축소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경성운동장이 들어서면서 자취를 감추었다. -다음 백과에서-








광희문


'근교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 인왕산 북악산 (0) | 2020.07.25 |
---|---|
한양도성 외부 순성길 3구간 남산(목멱산구간) (광희문~숭례문~돈의문) (0) | 2020.07.16 |
안산(봉원사) 인왕산(창의문) (0) | 2020.03.09 |
3월 안산 인왕산 산수유 (0) | 2020.03.08 |
북악산 북악둘레길 (0) | 2020.02.29 |